비밀글

※ 비밀번호는 게시글 확인/삭제시 필요합니다.

- -

문자알림받기

※ 핸드폰번호를 남겨주시면 답변 등록 시 알림을 받으실수 있습니다.

※ 이미지 파일만 업로드 가능합니다.
※ 이미지 파일은 각 10M 이하 크기만 업로드 가능합니다.
※ 이미지 파일은 가로 640px로 리사이즈 됩니다.
  • 1.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동의

  • 1) 개인정보 수집/이용 목적 : 상담문의, 민원, 고충처리
  • 2)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 필수 : 이름
    - 선택 : 핸드폰번호, 이메일
  • 3)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기간 : 제공받는 목적이 달성 시 까지 보유하며, 삭제요청 사이트 페쇄 의 경우 즉시 파기하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 보유기간 : 1년 (이용목적 달성시 1년 이후 파기됩니다.)
  • 4)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다는 사실 및 동의 거부에 따른 불이익: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동의를 하지 않으실 수 있습니다. 다만. 게시판 사용에 제한이 됩니다.

  • 2. 개인정보 제공받는자 : 대한내과의원(제주)★
  • 3. 개인정보 위탁자: ㈜인터랙티비
  • [개인정보 관리책임자]
  • 성 명 : 안구현 상무
  • 소 속 : 경영관리실
  • 전 화 : 02-501-6474(103)
  • 메 일 : khahn@interactivy.com
  • [개인정보 관리담당자]
  • 성 명 : 김종근 차장
  • 소 속 : 시스템관리그룹
  • 전 화 : 02-501-6474(161)
  • 메 일 : jgkim@interactivy.com
개인정보 수집/이용/위탁 동의

혈액검사

 +  혈액검사란

질환의 진단, 치료 및 추적 관찰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임상 적응증을 갖는 가장 기본적인 혈액 검사의 하나입니다. 이 검사를 통해 혈액 내 존재하는 세 가지 종류의 세포(혈구), 즉 적혈구, 백혈구, 그리고 혈소판에 대한 정보를 다양한 지표(parameter)를 이용해 파악할 수 있습니다. 혈구의 수적인 정보를 얻기 위해서 혈액을 적절하게 희석한 후에 일정 용적 내의 각각의 혈구 세포수를 자동으로 측정하는 자동 혈구 분석기(automatic hematology analyzer)가 널리 쓰이고 있습니다. 혈구계(hemocytometer)를 이용하여 현미경을 통해 세포수를 측정하는 수기법으로도 혈구의 수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으나 자동 혈구 분석기는 수적인 정보 이외의 다양한 지표를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더 널리 쓰이고 있습니다.

 +  혈액검사 종류

① 말초혈액 일반검사

혈액 속의 유형성분(혈구)에 대한 검사로서 적혈구, 헤모글로빈, 헤마토크릿(적혈구 용적률), 백혈구, 혈소판을 산정합니다. 혈구의 형태적 검사에는 도말표본을 만들어 검자(Giemsa) 염색을 하여 백혈구, 적혈구, 혈소판 등 그 밖의 여러 가지를 관찰합니다.

② 혈액 생화학적 검사

혈장이나 혈청속에 함유되어 있는 화학적 성분을 측정하는 검사로서,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비타민류, 효소, 무기물에 대해 상세한 검사를 합니다.
간기능, 신기능, 혈당 검사 등으로 여러 면에 걸친 검사가 있습니다.

③ 면역혈청학적 검사

항원항체반응을 이용한 검사로서, 혈청 속에 함유되어 있는 면역글로불린(항체), 보체 성분, 여러 가지 질환들에서 만들어지는 특유한 항체, 림프구의 기능 등을 측정하는 검사입니다.

 +  혈액검사 항목

1. 일반혈액검사 (WBC, RBC, Hb, HCT, MCV, MCH, MCHC, platelet )

  • 적혈구 관련 질환 : 빈혈, 철대사 및 철 결핍성 빈혈, 거대적모구성 빈혈, 용혈성 빈혈 등
  • 지혈 및 혈전 관련 질환, 혈소판 이상, 선천성 응고인자 이상 질환, 파종성 혈관내응고증 및 관련 증후군 등
  • 백혈구 관련 질환 : 림프절, 비장 및 단핵구-대식세포계 이상질환, 조직구증식증후군, 백혈병, 골수이형성 증후군 등

2. 혈액형 검사 (ABO, Rh)

3. 간기능 관련검사 (SGOT, SGPT, ALP, r-GTP, Total protein, Albumin, Total bilirubin)  

  • 급 만성 간염, 간질환, 간경변증, 알콜성 장애, 지방간, 황달, 영양상태

4. 신장기능 관련검사 (BUN, creatinine, uric acid)

  • 신부전, 요독증, 통풍성 질환

5. 지질 관련검사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 동맥경화, 지방간

6. 심장기능 관련검사 (LDH, CPK)

  • 심근경색, 다발성 근염

7. 췌장 및 혈당 관련검사 (Amylase, glucose)

  • 급 만성 췌장염, 당뇨

8. 혈청 면역 관련검사 (VDRL, anti-HIV, HBs Ag, HBs Ab)

  • 매독, 에이즈, B형 간염 감염 및 면역 여부

암검사

 +  자궁경부암

자궁경부에 생기는 암으로 6개월 마다 정기적인 암검사를 받으면 조기에 진단이 가능합니다.

 +  갑상선암

30~40대 여성의 암중 가장 많이 생기는 암으로 대부분 초음파 영상검사와 조직검사로 진단됩니다. 대부분 악성도가 낮아 빨리 진단하면 완치가 가능합니다.

 +  유방암

자궁경부암 다음으로 많이 발생하는 여성질환으로 유관과 유소엽에 있는 상피세포에서 생깁니다. 유방암 조기 발견을 위해 20대가 지나면 매월 한번 월경이 끝나고 2~3일 후 자가검진을 통해 스스로 유방의 변화를 관찰하는 것이 좋습니다.

 +  난소암

부인과 검진 시 난소에 종양이 만져질 경우, 질식 초음파 검사로 양성 종양인지 아닌지 구별해야 합니다. 난소암은 어느 정도 진행될 때까지 대부분의 환자에서 자각증상이 전혀 없다는 것이 특징이며, 암이 진행됨에 따라 통증과 압박 증상이 생길 수 있는데 특징적이지 못하고 애매한 경우가 많으며, 이로 인해 대부분이 3기 이상으로 진행된 후에 발견됩니다. 따라서 조기에 진단하기 위하여 정기적으로 종양 지표물질 검사 및 초음파 검사를 시행하는 것이 좋습니다.